공부/컴퓨터 네트워크

컴퓨터네트워크-네트워크층프로토콜(2)

lroot 2020. 5. 23. 19:17
728x90
반응형

문제1:

2진수 (01000010) 수신기가 패킷을 폐기함으로써

ipv4 패킷이 처음 8 비트와 함께 도착했다.

이유가 무엇일까?

 

해답:

이 패킷에 오류가 있습니다. 가장 왼쪽에있는 4 개의 비트 (0100)가 버전을 표시합니다.

다음 4 비트 (0010)는 유효하지 않은 헤더 길이 (2 * 4 = 8)를 보여줍니다.

헤더의 최소 바이트 수는 20이어야합니다. 패킷이 전송 중에 손상되었습다.

 

 

 

 

문제2:

IPv4 패킷에서 HLEN의 값은 2진수 (1000)입니다. 이 패킷은 몇 바이트의 옵션을 가지고 있습니까?

 

해답:

HLEN 값은 8이며, 이는 헤더의 총 바이트 수가 8 * 4 또는 32 바이트임을 의미합니다.

처음 20 바이트는 기본 헤더이고 다음 12 바이트는 옵션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문제3:

IPv4 패킷에서, HLEN의 값은 5이고, 총 길이 필드의 값은

16진수 (0028)이다.

이 pakcet에 의해 몇 바이트의 데이터가 전달되고 있습니까?

 

해답:

HLEN 값은 5이며 헤더의 총 바이트 수는 5 * 4 또는 20 바이트 (옵션 없음)를 의미합니다.

총 길이는 16진수 (0028) 또는 40 바이트이며, 이는 패킷이 20 바이트의 데이터를 운반 함을 의미합니다 (40-20).

 

 

 

문제4:

IPv4 패킷이 처음 몇 개의 16 진수로 표시되었습니다. (45000028000100000102 ...).

이 패킷 이동은 몇 홉을 떨어 뜨릴 수 있습니까?

데이터는 어떤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속합니까?

 

해답:

time-to-live 필드를 찾기 위해 8 바이트 (16 진수)를 건너 뜁니다.

TTL 필드는 9 번째 바이트이며 16진수 (01)입니다.

이는 패킷이 하나의 홉만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

프로토콜 필드는 다음 바이트 (02)입니다.

이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IGMP임을 의미합니다.

 

 

문제5:

그림 19.4는 옵션이없는 IPv4 헤더에 대한 체크섬 계산의 예를 보여줍니다. 헤더는 16 비트 섹션으로 나뉩니다.

가장 왼쪽 자리를 래핑 한 후 모든 섹션이 추가되고 합계가 보완됩니다. 결과가 체크섬 필드에 삽입됩니다.

랩핑 된 합계 및 체크섬의 계산은 16 진수로 다음과 같이 수행 할 수도 있습니다.

랩핑 된 합계 = 합계 mod FFFF

체크섬 = FFFF - 랩핑 합계